
11일 서울시 여의도 하늘에 2인승 드론 택시가 하늘을 날았다.
대표적 미래 교통수단으로 꼽히는 ‘드론 택시’가 국내 최초로 서울 여의도 상공을 비행했다.
이번 비행을 계기로 드론이 도심 교통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택시가 하늘을 비행한 것은 국내 처음이다.
시연에는 2인승 드론기체 한대를 투입했다.
해발 50m 상공에서 여의도 한강공원, 서강대교, 밤섬, 마초대교 일대 1.8km를 두바퀴 돌아 7분 가량 비행했다.
사람이 탈 수 있는 유인용이지만 시연에서는 쌀가마니를 태웠다.
이번 드론택시는 중국 이항사의 2인승급 기체 EH216이다.
드론택시용 기체는 전기 동력 (친환경), 분산추진 (저소음 및 안전), 수직 이착륙 (도심공간 활용)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다.

국토부는 이번 시연을 준비하면서 드론택시 기체 안전성 검토 기준을 마련하고 인증 경험을 쌓는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도심 항공교통 분야는 세계적으로 주도권·기술표준 등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국토부는 앞으로 로드맵에 따라 드론택시 기체의 비행 기회를 계속 제공하고 상용화를 위한 제도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와 함께 현대자동차, 한화시스템즈 등 7개 국내외 업체와 대학 등이 참여한
드론택시용 개발기체 모형 전시회에도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드론에 대한 산업·학계의 높은 관심도 확인됐다.

서울시는 이번 비행에 투입한 드론 기체를 활용,
내년엔 도심 항공 교통 운행에 관심을 보인 대구와 제주 등 지방 3곳에서 추가 비행을 진행해 국민적 관심을 높일 계획이다.
내년 6월 개최 예정인 서울 스마트 모빌리티 엑스포 등 시 주최 행사에 2차례 시범 비행을 준비하고 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인류가 꿈꾸던 미래 교통수단인 드론택시를 혁신의 테스트베드인 서울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선보여 매우 기쁘다”며
“하늘을 날고자 한 인류의 꿈이 서울시민의 현실로, 안전하고 편안한 일상으로 안착할 수 있게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2025년 드론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UAM(·Urban Air Mobility)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민관 협의체 'UAM 팀 코리아'를 지난 6월 결성했다.
참여사인 한화시스템은 미국 오버에어와 공동 개발 중인
개인비행체(PAV) '버터플라이'의 실물 모형(목업·mock-up)을 이날 국내외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날 공개된 버터플라이 모형은 실제의 3분의1 크기로 제작됐다.
버터플라이는 전기식 수직 이착륙기 유형으로 저소음·고효율의 최적속도 로터(Tilt Rotor) 기술이 적용된다.
한화시스템은 버터플라이 기체의 경쟁력과 기체 운항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업 추진 현황 등을 이날 소개했다.
회사는 한국공항공사와 드론택시가 뜨고 내릴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용 터미널(버티포트·vertiport)보다 상위 개념인 '버티허브(verti-hub)'를 김포공항에 만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연철 대표이사는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세계 최초로 실제 공항에 관제, 항로운항 등을 설계하는 UAM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방산전자·IT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교통 환경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11일 서울시 여의도 하늘에 2인승 드론 택시가 하늘을 날았다.
대표적 미래 교통수단으로 꼽히는 ‘드론 택시’가 국내 최초로 서울 여의도 상공을 비행했다.
이번 비행을 계기로 드론이 도심 교통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택시가 하늘을 비행한 것은 국내 처음이다.
시연에는 2인승 드론기체 한대를 투입했다.
해발 50m 상공에서 여의도 한강공원, 서강대교, 밤섬, 마초대교 일대 1.8km를 두바퀴 돌아 7분 가량 비행했다.
사람이 탈 수 있는 유인용이지만 시연에서는 쌀가마니를 태웠다.
이번 드론택시는 중국 이항사의 2인승급 기체 EH216이다.
드론택시용 기체는 전기 동력 (친환경), 분산추진 (저소음 및 안전), 수직 이착륙 (도심공간 활용)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다.
국토부는 이번 시연을 준비하면서 드론택시 기체 안전성 검토 기준을 마련하고 인증 경험을 쌓는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도심 항공교통 분야는 세계적으로 주도권·기술표준 등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국토부는 앞으로 로드맵에 따라 드론택시 기체의 비행 기회를 계속 제공하고 상용화를 위한 제도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와 함께 현대자동차, 한화시스템즈 등 7개 국내외 업체와 대학 등이 참여한
드론택시용 개발기체 모형 전시회에도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드론에 대한 산업·학계의 높은 관심도 확인됐다.
서울시는 이번 비행에 투입한 드론 기체를 활용,
내년엔 도심 항공 교통 운행에 관심을 보인 대구와 제주 등 지방 3곳에서 추가 비행을 진행해 국민적 관심을 높일 계획이다.
내년 6월 개최 예정인 서울 스마트 모빌리티 엑스포 등 시 주최 행사에 2차례 시범 비행을 준비하고 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인류가 꿈꾸던 미래 교통수단인 드론택시를 혁신의 테스트베드인 서울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선보여 매우 기쁘다”며
“하늘을 날고자 한 인류의 꿈이 서울시민의 현실로, 안전하고 편안한 일상으로 안착할 수 있게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2025년 드론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UAM(·Urban Air Mobility)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민관 협의체 'UAM 팀 코리아'를 지난 6월 결성했다.
참여사인 한화시스템은 미국 오버에어와 공동 개발 중인
개인비행체(PAV) '버터플라이'의 실물 모형(목업·mock-up)을 이날 국내외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날 공개된 버터플라이 모형은 실제의 3분의1 크기로 제작됐다.
버터플라이는 전기식 수직 이착륙기 유형으로 저소음·고효율의 최적속도 로터(Tilt Rotor) 기술이 적용된다.
한화시스템은 버터플라이 기체의 경쟁력과 기체 운항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업 추진 현황 등을 이날 소개했다.
회사는 한국공항공사와 드론택시가 뜨고 내릴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용 터미널(버티포트·vertiport)보다 상위 개념인 '버티허브(verti-hub)'를 김포공항에 만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연철 대표이사는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세계 최초로 실제 공항에 관제, 항로운항 등을 설계하는 UAM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방산전자·IT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교통 환경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